반응형
1. 단타(단기) 투자 관점
- 52주 신고가 경신 및 기관 연속 순매수 등 단기 모멘텀이 강하게 작용 중입니다.
최근 3일 연속 상승, 52주 고점(12,800원) 근접, 기관 8일 연속 순매수 기록 등 수급이 긍정적입니다.
→ 단기적으로 추가 상승 여력 존재 - 다만, 52주 신고가 부근에서는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도 있으니, 단타는 짧은 손절/익절 기준이 필수입니다.
- 단기 기술적 지표(TV 종합) : 주간·월간 모두 강력 매수 신호이나, 오실레이터 일부는 과열 신호도 감지됨.
→ 단타는 과열 구간 진입 시 신속한 대응 필요
2. 중장기 투자 관점
- 2025년 최대 실적 및 주주환원정책(자사주 매입·소각, 분기배당) 강화, 배당수익률 높음 등 펀더멘털이 매우 긍정적입니다.
- PBR 0.32~0.4배, PER 4.7배 내외로 은행주 내에서도 저평가 상태 유지 중.
- 신정부 출범, 해외사업(카자흐스탄 진출), 스테이블코인 등 신사업 모멘텀도 보유.
-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 50% 목표, 연 4회 분기배당 등 장기 보유 매력도 큼.
- 내수 경기 둔화, 부실여신 리스크 등은 중장기 리스크 요인이나, 저평가 매력과 배당정책이 이를 상쇄하는 구간.
3. 차트/기술적 분석 요약
- 현재가(7월 초): 약 12,400~12,800원(52주 신고가 부근)[5]
- 이동평균선: 5일, 20일, 60일, 120일 모두 상향 돌파, 상승추세 견고
- 기술적 종합: 주간·월간 기준 강력 매수 신호, 단기 오실레이터는 과열 신호 일부 감지
- 피봇(지지/저항):
- 강력 저항: 12,800원(52주 신고가)
- 단기 지지: 12,200원, 12,000원
- 중장기 지지: 11,500원, 11,000원
4. 매수·매도 전략 제안
구분 | 매수 전략 | 매도 전략 |
---|---|---|
단타(단기) | - 신고가 돌파(12,800원) 시 소량 분할 매수 - 12,200~12,400원 지지 확인 시 단기 진입 - 손절: 12,000원 이탈 시 신속 이탈 |
- 13,000원 부근 단기 익절 - 단기 급등 시 2~3% 수익 실현 - 거래량 급감/음봉 전환 시 매도 |
중장기 | - 12,400원 이하 분할 매수 - 12,000원 이하 추가 매수(분할 접근) - 목표가: 15,000~18,000원(증권사 제시) |
- 목표가 15,000원 이상 도달 시 일부 익절 - 배당락 전후 변동성 확대시 분할 매도 - 장기 하락 전환(11,000원 이탈) 시 일부 비중 축소 |
5. 투자 유의사항
- 단기 급등 구간에서는 변동성 확대 및 차익 매물 출회 가능성 항상 염두.
- 중장기 투자 시, 배당정책·주주환원·저평가 매력은 긍정적이나, 내수경기 및 부실여신 리스크는 체크 필요.
- 실적 발표, 정부 정책,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 등 외부 변수에 따른 추가 모니터링 권장.
반응형